교사에게 미운털 박힌 순간, 아이의 학교생활은 바뀌었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녀 교육 & 미래 준비

교사에게 미운털 박힌 순간, 아이의 학교생활은 바뀌었습니다

by 한 걸음 노트 2025. 4. 3.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반응형

교사의 주관적인 감정이 아이의 평가와 학교생활에 영향을 준다면, 학부모로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실제 사례를 통해 함께 고민해 보시죠.

혹시 우리 아이도…? ‘마음에 안드는 아이’로 찍히는 순간

“요즘 우리 아이가 학교 이야기를 잘 안 해요.”
“공부는 나쁘지 않았는데, 평가가 이상하게도 계속 낮아져요.”
“교사와 사이가 좀 불편한 것 같다”는 아이의 말…

 

이런 작은 이상 징후가 하나둘 쌓일 때,
부모는 무언가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를 직감하게 됩니다.

단순히 ‘요즘 컨디션이 안 좋은가 보다’ 하고 넘기기엔,
아이의 태도도, 표정도, 말투도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침묵 속의 변화 - 아이

공부를 못 해서가 아니라, 무례하거나 문제 행동을 한 것도 아닌데...
평가는 냉정해지고, 선생님은 아이의 장점보다는 실수만을 보는 것 같을 때.

문득 이런 생각이 스칩니다.


문제가 아이에게 있는 게 아니라,
그 아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바뀐 건 아닐까?

 

부모는 본능적으로 압니다.
아이가 불공정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말은 하지 않아도 마음속 깊이 겪고 있다는 것을요.

학부모 피드백이 부메랑처럼 돌아와, 아이를 공격하는 교사 - 어떻게 해야 할까?

 

학부모 피드백이 부메랑처럼 돌아와, 아이를 공격하는 교사 -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의 학교생활이 걱정되어 전달한 학부모 피드백이 오히려 아이에게 불이익으로 돌아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감정적인 교사가 피드백을 개인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이는 상황에 대해, 구

warmline.tistory.com

🧩 학부모가 취할 수 있는 대응 전략

반응형

아이의 말을 먼저 믿고 들어주세요

부모로서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일은,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고 진심으로 믿어주는 것입니다.

“설마 선생님이 그럴 리가 있겠어?”
이런 반응은 아이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는 보통, 모든 상황을 다 말하지 않습니다.
조금씩 꺼내는 이야기 속에
감정과 경험, 그리고 좌절이 섞여 있는 조각들이 숨어 있습니다.

아이들은 왜 한 번에 모든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화법

 

아이들은 왜 한 번에 모든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화법

아이들이 한 번에 모든 상황을 말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신가요? 아이의 사고방식과 표현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모가 아이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아이가 이야기를

warmline.tistory.com

 

그 이야기를 들으며,
어떤 시점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조심스럽게 퍼즐을 맞추듯 정리해보세요.
사소해 보이는 표현이나 태도 하나하나가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상담은 ‘감정’이 아닌 ‘기록’으로 준비하세요

선생님과의 상담을 요청할 땐,
사실 중심으로 상황을 정리한 문장들을 준비해보세요.

  • “아이가 요즘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 “이런 평가가 반복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어떤 관찰을 바탕으로 그렇게 판단하신 건지 알고 싶습니다.”

이처럼 감정적인 항의가 아니라,
구체적 상황에 대한 확인 요청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록을 남기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언제 어떤 일이 있었고, 어떤 피드백을 받았으며,
그 이후 아이의 반응이 어땠는지 메모해두세요.
이 과정이 나중에 객관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힘이 되어줍니다.

 

아이의 변화는 아주 작은 것에서 시작됩니다

한 학부모가 수업 분위기와 시험 공정성에 대해 교사에게 조심스럽게 피드백을 건넸습니다. 하지만 이후 아이에게 나타난 변화는 너무나 뚜렷했습니다.

잘못 절대 인정 안 하는 사람, 이렇게 대처하세요 (나르시스트 특징까지 정리!)

 

잘못 절대 인정 안 하는 사람, 이렇게 대처하세요 (나르시스트 특징까지 정리!)

계속해서 똑같은 문제를 반복하고도 사과는커녕 남 탓만 하는 사람들, 지치셨나요? 나르시시즘의 특징부터 감정 소모 없이 단호하게 대처하는 현실적인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왜 저 사람은

warmline.tistory.com

이후부터 교사의 반응은 분명히 달라졌습니다.
어느 날, 아이는 피곤한 날씨에 잠깐 수업 중 졸았습니다. 평소 같으면 조용히 깨웠을 교사는, 그날 따라 아이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고, 그것을 학생들 앞에서 지적했습니다.


작성 중이던 작문 과제는 깨우지도 않은 채 평가되었고, 그 평가는 매우 낮았습니다.

아이 질문은 회피하고, 프로젝트 평가에서는 설명도 없이 낮은 점수를 줍니다.

 

시험 채점에서 정답도 틀리게 채점했으며, 애매한 부분도 모두 틀렸다고 처리했습니다.

아이가 무엇을 해도 인정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감정이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입증된 사실입니다.
교사는 학생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경우 더 관대하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경우 더 엄격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Brackett et al., 2013).
또한,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에게 편견이 섞인 판단을 하는 경향도 확인되었습니다 (Krämer & Zimmermann, 2021).

'감정적 평가’가 아이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학습 의욕 저하와 자기효능감 하락

 

부당하다고 느껴지는 경험은 아이에게 깊은 무력감을 남깁니다.
“내가 뭘 해도 안 된다”는 생각은 학업 의욕을 떨어뜨리고, 자기효능감을 약화시킵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학습보다 중요한 ‘정서적 안정’이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교사의 차가운 태도는 친구 관계에도 영향을 줍니다.

 

다른 친구들이 교사의 시선을 따라가게 되고, 아이는 소외되거나 낙인찍히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연구에서는 교사의 친밀함(communion)이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Donker et al., 2021).

728x90

🧩 공립 / 사립 / 국제학교별 대응 팁

공립학교: 지역 시스템을 활용하세요

공립학교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학교 내부의 상담 선생님 외에도 다양한 외부 공식 창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Wee센터 (위센터): 학교폭력·정서 문제·관계 갈등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상담 가능
  • 학생인권센터 (시·도 교육청 소속): 부당한 평가나 교권 남용이 의심될 경우,
    공식적으로 진정을 넣고 조정 요청 가능

또한,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 위원을 통해 내부 건의를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사립학교: 권한 구조를 이해하고 접근하세요

사립학교는 운영 구조상 교장의 권한이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학교 내 공식 소통 창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교장 또는 운영 담당 부서와의 상담 예약이 우선적 절차입니다.
  • 필요 시, 보호자 협의회(학부모회)를 통해 공동 건의 형태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이사회(이사진) 의견 전달 루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사 운영에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단, 사립학교는 교육청의 직접 개입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내부 절차를 우선 활용해야 합니다.


국제학교: IB / Cambridge 계열별 대응 전략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계열 학교

IB 학교는 국제 바칼로레아 본부(IBO)의 인증을 받은 학교로,
학생 권리를 보호하는 문서와 절차가 명확히 마련되어 있습니다.

  • IB Learner Profile은 학생이 존중받고, 공정한 교육 환경을 누릴 권리가 있음을 명시합니다.
  • DP/CP/MYP 코디네이터 또는 IB Programme Coordinator에게 정식 우려사항을 전달하세요.
  • 내부 해결이 어려울 경우, IBO에 공식 Complaint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단, 학생/학부모가 아닌 학교가 공식 채널을 통해 보고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학부모의 의견은 내부 논의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 대응 팁:

  • 학생의 평가 결과나 교사 피드백, 과정 중심 포트폴리오 기록 등을 확인 요청 가능
  • 학부모는 '피어 리뷰 기반 평가 체계'의 공정성 원칙에 따라 불합리한 평가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IB 교과는 ‘Reflection’을 중시하므로, 학생의 정서적 반응과 동기 변화도 기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관련 문서: 

The IB complaints procedure

IB Diploma Programme guide for parents


Cambridge (CAIE – Cambridge Assessment International Education) 계열 학교

Cambridge 학교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 산하 시험평가기관인 CAIE의 커리큘럼을 운영합니다.
대부분의 학교는 International GCSE, AS Level, A Level 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량적인 평가 기준과 외부 검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평가 및 채점 과정은
Cambridge에서 제공한 공식 mark scheme을 따르며,
평가 이후에도 필요 시 외부 appeal 절차를 통해 공정성을 점검받을 수 있습니다.

각 학교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담당자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 Exams Officer
  • Cambridge Programme Coordinator

이들과의 정식 상담을 통해 이의 제기 및 평가 검토 요청이 가능합니다.


📌 대응 팁:

  • 학교 내부 시험일지, 교사 피드백, 채점 기준표(mark scheme) 등을 학부모가 열람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의도적인 저평가 또는 피드백 누락, 채점 오류가 의심되는 경우,
    학교 내 운영팀에 문제를 정식 제기하고, 필요시 시험 위원회(CAIE)로 escalate 요청 가능합니다.

Cambridge는 학생의 평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정식 Appeals Process를 제공하며,
이 절차는 시험 결과뿐만 아니라 교사 평가 방식에 대한 이의 제기까지 포함합니다.

📘 공식 가이드라인 보기:

Enquiries about results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exam-administration/cambridge-exams-officers-guide/phase-6-results-and-certificates/enquiries-about-results/

 

Enquiries About Results

If you request a service that includes a copy of a script, our 'enquiries about results and marks on scripts' factsheet (PDF, 835KB) will help you to understand the marks and annotations you may see. It will also help you to understand: the different marki

www.cambridgeinternational.org

 

💡 Cambridge (CAIE) 계열에서 학부모나 학생이 시험 관련 자료 열람을 요청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근거는 Cambridge의 ‘Enquiries About Results (EaR)’와 ‘Access to Scripts’ 정책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정책은 학교를 통해 시험지, 평가 기준, 교사 코멘트 등의 자료에 접근하거나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합니다.

📌 근거 1: Enquiries About Results (EaR)

Cambridge는 학생 또는 학부모가 학교를 통해 시험 점수 및 채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원고(script), 채점 기준(mark scheme), 피드백 내용 등에 접근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EaR services are submitted by the centre (school) on behalf of the candidate. These services may include requests for a re-mark, clerical check, or access to the candidate’s marked script."
– Cambridge Handbook, Section 5.5

📌 근거 2: Access to Scripts 정책

학생이 시험을 본 후, 학부모와 함께 교사가 답안지 및 채점 상태를 검토할 수 있도록 원고 열람 요청(Access to Scripts)이 가능한 제도가 운영됩니다.

이 제도는 교사나 Exams Officer가 학부모 또는 학생 요청을 반영하여 시험 채점본 또는 요약 평가 결과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후 이 결과에 근거해 이의제기(EaR) 또는 공식 Appeal 절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You can request access to a copy of the marked script, and use this to support teaching and candidate understanding, or to decide whether to request a review of marking.”
– Cambridge International – Access to Scripts Guide

📘 공식 문서 출처 및 링크

Cambridge Handbook 2025 (Section 5 – Results and Appeals):
전체 핸드북 링크: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Images/723185-cambridge-handbook-2025.pdf

섹션 4와 5만 포함된 축약본 링크: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Images/700833-cambridge-handbook-2024-section-4-and-5-abridged-.pdf

Access to Scripts Policy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exam-administration/results-appeals/access-to-scripts/

Results and Appeals (Main Guide Page)
https://help.cambridgeinternational.org/hc/en-gb/articles/115004302505-Enquiries-About-Results-Appeals

📌 Exams Officer가 없거나 불분명한 경우, 이렇게 대응하세요


1. Cambridge Programme Coordinator에게 먼저 문의하세요

Cambridge 인증 학교는 반드시 다음 중 하나 이상의 공식 역할자를 두어야 합니다:

- Cambridge Exams Officer
- Cambridge Programme Coordinator
- Centre Exams Manager (CEM)
- Head of Secondary / Head of School

따라서 Exams Officer가 명확히 없거나 역할이 모호한 경우, Cambridge Coordinator 또는 교장(Headteacher)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Cambridge 평가에 대해 문의 및 이의제기를 하고자 합니다. 해당 업무를 담당하시는 Exams Officer 또는 프로그램 책임자께 연결해주시겠어요?"

2. 학교 담당자가 없을 경우, Cambridge 본부에 직접 문의할 수는 없나요?

Cambridge Assessment International Education(CAIE)는 개별 학부모의 직접 접촉은 받지 않습니다. 항상 "학교(Centre)를 통해 접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We do not accept enquiries or complaints from parents or candidates directly. All such requests must be submitted by the Centre.” – Cambridge Handbook 2024, Section 5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우회해야 합니다:

학교 관리자(교장, 교감, 코디네이터)에게 “학생 보호를 위한 공식 절차 안내 요청” 형태로 정중하게 접근 내부 대응이 불충분하거나 거부될 경우, 학부모 회의나 이사회(보드)를 통해 공식 민원 제기 절차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학교가 정당한 요청을 거부하거나 묵살할 경우의 대응 전략

✅ 1단계: 기록 기반으로 다시 한 번 요청 (문서화 필수)

학교가 "담당자가 없다"거나 "그런 절차는 없다"며 회피할 경우, 정확한 용어와 근거로 다시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문장:

"Cambridge 공식 평가 체계(CAIE Enquiries About Results)에 따라 학생 또는 보호자는 학교를 통해 스크립트 열람 및 이의 제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요청은 Cambridge의 Handbook 및 공식 사이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정식 회신을 서면으로 부탁드립니다."

💡 중요: 반드시 이메일로 남기고, 학교 측의 답변도 보관하세요. (묵살되었는지도 ‘증거’가 됩니다)

✅ 2단계: 학교의 상급 행정체계 활용 (이사회, 학부모회 등)

국제학교는 보통 학교 이사회(Board of Governors) 또는 법인 운영위원회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행정구조를 파악해 다음 중 하나를 활용하세요:

경로내용학교 이사회 / 운영 위원회"학부모 정당한 권리 요청이 학교에서 무시되고 있음"을 정식 건의보호자 협의회(학부모회)공동 명의로 학교 운영진에 공식 건의서 제출 가능학교가 속한 재단/법인다국적 교육 재단(Magna, Nord Anglia 등) 소속이라면 본사 고객센터 활용

✅ 3단계: Cambridge 본사에 ‘학교 불이행 신고’ 가능

개별 학부모는 CAIE에 직접 Appeals를 넣을 수는 없지만, 학교가 Cambridge의 규정에 명시된 권리보호 절차를 무시하거나 방해할 경우, Cambridge에 ‘Centre-level Issue’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공식적인 경로

Centre Malpractice or Mismanagement Report 제출 또는 Customer Services 팀에 Centre Issue로 이메일 가능

Cambridge 연락처:
📧 info@cambridgeinternational.org
📄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about-us/contact-us/

예시 메일 제목: "Concern Regarding EAoR/Access to Scripts Denial by Centre - [School Name]"

메일에 포함할 것:

어떤 요청을 했고, 어떤 문서/근거를 바탕으로 했으며, 학교가 어떻게 회신(또는 회피/무응답)했는지 학생에게 미치는 정서적/평가적 영향

✅ 4단계: 학생 정서 보호 – 즉각적인 대처 병행

학교 내 심리상담사(School Counsellor) 혹은 외부 Wee센터(국내 거주 시) 연계
학생이 학교 생활에서 느낀 불공정함을 직접 정리해 보는 활동 → 향후 진술서로 활용 가능
부모가 아이가 보호받고 있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만으로도 정서적 방어벽이 됩니다

✅ 정리 표

학교 유형 대응 창구 추가 팁
공립학교 담임 → 상담교사 → Wee센터 / 교육청 인권센터 기록 확보 + 객관적 요청 중심 상담
사립학교 담임 → 교장/교감 → 학부모회 / 이사회 소통 구조 파악이 핵심
IB 계열 코디네이터 → 프로그램 디렉터 → IBO 내규 참고 평가 기준 및 피드백 기록 확보
Cambridge 계열 Exams Officer → 학교관리자 → CAIE appeal 절차 mark scheme 등 문서 기반 대응

🧩 정서적 안정이 우선입니다

가정은 아이에게 가장 안전한 공간이어야 합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겪은 혼란을 안전하게 풀어낼 수 있는 공간은,
결국 가정입니다.

학교에서는 스스로 표현하지 못했던 말들을
집에서는 조심스럽게 꺼낼 수 있도록,
아이의 감정을 부드럽게 받아줄 여유와 온도가 필요합니다.

아이의 목소리를 듣는 순간

예를 들어:

  • “그런 일이 있었구나. 속상했겠다.”
  • “그게 네 잘못인지 아닌지, 엄마, 아빠가 같이 알아볼게.”
  • “말해줘서 고마워. 엄마, 아빠가 같이 생각해볼게.”

이런 말은 아이에게
내 감정은 이해받을 가치가 있어”라는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자기표현의 힘이 다시 회복되기 시작하는 순간입니다.

🧩 교사도 사람이다 vs. 교사는 전문가여야 한다

정당한 훈육과 감정적 복수는 분명히 다릅니다

교사도 감정을 가진 사람입니다.
학생에게서 상처를 받을 수도 있고, 피곤하거나 여유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교사는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교육은 일방적인 권위나 지시가 아니라,
아이의 성장을 함께 책임지는 전문적 돌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훈육은 아이가 상황을 이해하고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돕는 의미 있는 지도여야 하고,
그와 반대로 특정 행동 이후 의도적으로 냉소적 반응, 공개적 망신, 지속적 평가 불이익이 반복된다면,
그건 훈육이 아닌 감정의 발산입니다.

 

이런 방식은 단순히 잘못된 대응일 뿐 아니라,
아이의 자존감과 학습권을 침해하는 비전문적 태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습 부진 학생을 더 잘 이끌었던 교사의 특성은 ‘정서적 안정감과 인내심’이었다는 연구는 이를 잘 보여줍니다 (Hamre & Pianta, 2005).
감정 조절을 통해 신뢰를 주는 교사가 있을 때,
학생은 오히려 더 빨리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시 도전할 수 있습니다.


감정의 선을 넘는 순간, 교육은 깨집니다

교육은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신뢰는 교사의 말투, 표정, 판단에 모두 스며 있습니다.

공정하지 않은 교사

그 판단이 객관성을 잃고, 아이에 대한 인식이 왜곡되기 시작하면
그 교실은 아이에게 더 이상 공정하고 안전한 공간이 되지 못합니다.

  • 잘못된 행동을 전체 앞에서 조롱하는 것
  • 아이의 장점은 무시하고 단점만 반복해서 지적하는 것
  • 학부모의 건의 이후 아이에게 더 차가운 태도로 응대하는 것

이런 모든 일들은 아이에게 ‘나는 사랑받지 못할 존재’라는 낙인을 찍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그 상처는 오래 남습니다.


단순히 평가 점수가 아니라, 아이의 자존감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가 선생님께 무시당했다고 느낄 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대응법

 

아이가 선생님께 무시당했다고 느낄 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대응법 💛

아이가 선생님께 무시당했다고 느낄 때,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선생님과 원만하게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선생님께 무시당했다고 느낄 때 - 아

warmline.tistory.com


🧩 공정한 교육을 위한 작은 용기

학부모는 감정을 대신 읽어주는 역할입니다

아이는 선생님에게 말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 안에서의 관계는 여전히 불균형하니까요.

 

부모는 아이가 꺼내지 못하는 감정을 대신 듣고,
필요할 땐 대신 말해줄 수 있는 사람
입니다.

이 역할은 때때로 용기를 요구합니다.


하지만 아이는 알고 있습니다.
‘내 편이 되어줄 어른이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아이는 다시 살아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키우는 100가지 따뜻한 말: 자존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랑의 언어

 

아이의 마음을 키우는 100가지 따뜻한 말: 자존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랑의 언어

부모의 한마디가 아이의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큽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의 마음을 성장시키는 100가지 따뜻한 말을 소개합니다. 일상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표

warmline.tistory.com

아이의 학습 동기부여, 효과적인 방법 5가지!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팁

 

아이의 학습 동기부여, 효과적인 방법 5가지!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팁

아이의 학습 동기부여,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맞춤형 전략, 긍정적 강화, 목표 설정 등 효과적인 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느끼도록 돕는 실용적인 팁을 확인하세요! 우리

warmline.tistory.com


📢 우리 아이들의 정서적 안전, 함께 지켜주세요

교사에게 보낸 우려의 메시지,
그 후에 벌어진 태도 변화.
그리고 그날, 아이가 수업 중에 잠깐 졸았던 순간…

그 일이 아이의 학교생활을 바꾸었습니다.

 

문제는 아이의 행동이 아니라,
그 행동을 바라보는 어른의 감정적 대응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 아이들이 공정하고 따뜻한 공간에서
안전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부모로서 함께 관심을 가져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이런 일이 주변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

우리 아이들의 학교생활은,
작은 관심과 연대에서부터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


누군가에게는 공감이,
또 누군가에게는 용기가,
그리고 어떤 아이에게는 구원이 될지도 모릅니다.

 

비슷한 경험을 한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을 함께 나눠주세요. 누군가의 학교생활을 바꾸는 작은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참조문헌

더보기
  1. Cambridge Assessment International Education. (2024). Results and Appeals.
    Retrieved from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exam-administration/results-appeals/
  2. Cambridge Assessment International Education. (2024). Cambridge Handbook 2024 – Section 5: Results and Appeals.
    Retrieved from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Images/599229-cambridge-handbook-2024-section-5.pdf
  3. Cambridge Assessment International Education. (2024). Access to Scripts.
    Retrieved from https://www.cambridgeinternational.org/exam-administration/results-appeals/access-to-scripts/
  4. Hamre, B. K., & Pianta, R. C. (2005). Can instructional and emotional support in the first-grade classroom make a difference for children at risk of school failure? Child Development, 76(5), 949–967.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89.x
  5. Skinner, E., Kindermann, T., & Furrer, C. (2009). A motivational perspective on engagement and disaffection: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of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9(3), 493–525.
    https://doi.org/10.1177/0013164408323233
  6. Wentzel, K. R. (2012).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adolescent competence at school. I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https://doi.org/10.1002/9780471726746.ch10
  7. Roeser, R. W., Eccles, J. S., & Sameroff, A. J. (2000). School as a context of early adolescents'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2), 401–415.
    https://doi.org/10.1111/1467-8624.00140
  8.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IBO). (2021). A Parent’s Guide to the IB.
    Retrieved from https://ibo.org/globalassets/publications/become-an-ib-school/parents-guide-to-education.pdf

교사의 정서적 학대, 어디까지 참아야 할까요?

 

교사의 정서적 학대, 어디까지 참아야 할까요?

정서적 학대는 훈육과 다릅니다. 반복적인 감정적 언행으로 아이의 권리가 침해된다면, 부모는 체계적이고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공립·사립·국제학교 유형별 구체적 대응 방법을 안내드

warmline.tistory.com

아이의 학업 스트레스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핵심 팁

 

아이의 학업 스트레스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핵심 팁

아이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알고 계신가요?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책과 전문가 추천 방법을 소개합니다. 우리 아이가 건강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1. 학업 스

warmline.tistory.com

 

반응형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