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 경제]/직장고민

직장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요즘 직장인들의 예의 있는 축의금 문화

by 한 걸음 노트 2025. 4. 8.
반응형

2025년 직장 내 축의금 문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얼마가 적당한지, 주는 타이밍은 언제가 좋은지, 오해 없는 축의금 매너를 정리했습니다. 실수 없는 관계 유지 팁까지!


2025년, 직장 동료 축의금 주고받기 예의

기쁜 소식을 듣자마자, 살짝 머릿속을 스치는 고민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축의금은 얼마나 내야 하지?” 하는 현실적인 질문이죠.

축의금은 얼마나 내야 하지?

직장 동료의 결혼 소식은 반갑고 축하할 일이지만,
그 순간 떠오르는 생각은 조금 복잡합니다.
같은 팀이면 다르고, 다른 부서면 또 다르고…
신입사원이라면 괜히 위축되기도 하죠.
중간관리자는 팀원들 분위기까지 챙겨야 하니 더 신경이 쓰이고요.

 

2025년 현재, 직장 내 축의금 문화는 조용히 변하고 있습니다.
간소해지는 경조사, 높아진 식대, 그리고 더 조심스러워진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예의’와 ‘부담’ 사이의 균형을 찾기란 쉽지 않죠.


요즘 진짜 이런 상황 많지 않나요?

얼마가 적당한지 몰라서 눈치만 본 경우

KB국민카드(2023년 10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 ‘알고 지내는 동료’에게 평균 8만 원,
  • ‘친한 사이’에겐 평균 17만 원을 낸다고 해요.

하지만 문제는 늘 똑같습니다.
"나는 이 사람과 어느 정도 가까운 걸까?"
그 거리감을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요즘도 단톡방에서 누가 먼저 “3만 원? 5만 원?” 정해주길 기다리는 분위기는 여전합니다.

신입인데 줘야 하나? 고민되는 상황

“저는 신입인데, 축의금 꼭 내야 하나요?”
직장 초년생이라면 한 번쯤은 고민해봤을 말입니다.
아직 월급도 많지 않고, 팀원들과도 어색한데 축의금을 내자니 부담스럽죠.
그렇다고 안 내자니 괜히 눈에 띄고, ‘예의 없다’는 인상을 줄까 봐 조심스럽기도 하고요.

인크루트(2023년 3월) 설문에 따르면,
축의금은 직장 내 서열과 분위기에 따라 위계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요소로,
신입사원들에게는 특히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회사 내부에서 아예 “선택 참여”임을 미리 공지하거나,
신입은 팀 예산으로 포함하는 방식도 늘고 있어요.

언제부턴가, 축의금이 계산처럼 느껴질 때

“내 결혼식 땐 5만 원 줬는데, 그 사람은 3만 원 줬더라고요.”
요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종종 보이는 이야기입니다.
기브 앤 테이크의 균형이 어긋날 때, 축의금은 축하보다 섭섭함이 먼저 남기도 하죠.

축의금이 ‘진심의 표현’이 아니라 ‘기억해야 할 계산서’처럼 느껴지는 순간,
사람 사이의 온기가 조금씩 멀어지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2025년 축의금 문화, 뭐가 달라졌을까?

코로나 이후 달라진 사내 문화

팬데믹 시기를 지나면서 많은 기업이 재택근무와 비대면 업무 문화를 도입했고,
그 여파는 경조사 문화에도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예전처럼 “함께 자리하고, 밥도 먹고, 봉투도 전하는” 문화가 줄어들면서,

비대면 축의금 송금


비대면 축의금 송금, 단체 명의 전달, 간소화된 예식 참여 등이
이제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풍경이 되었죠.

 

실제로 카카오페이 통계(2023)에 따르면,
축의금 송금 봉투 사용률은 최근 5년 사이 무려 360%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모바일 송금+간단한 메시지”가 기본 매너처럼 자리 잡고 있는 셈이죠.


간소화된 행사 vs 예의 차리기 문화의 충돌

결혼식 간소화는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청첩장 없이 카톡으로 링크만 보내는 경우도 많고,
예식 후 식사도 없이 사진만 찍고 끝나는 경우도 늘었죠.

그런데도 축의금 문화만큼은 여전히 ‘형식’보다 ‘예의’가 중시됩니다.
"식사는 못 해도 축의금은 전해야 예의"라는 인식이 남아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히려 요즘은 형식은 간소화되었지만, 축의금은 더 눈치 보이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식대가 오른 영향은 얼마나 클까? 🍽️ 

1. “5만 원이면 부족한 시대”

헤럴드경제(2024.01.03) 보도에 따르면,

“결혼식 식대가 5만 원을 훌쩍 넘는 곳이 많아지면서,
5만 원 축의금이 ‘기본’이 아니라 ‘최소한의 예의’처럼 여겨지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2. 서울 시내 식대 평균 6만~8만 원대

  • 일반 예식장: 5만~8만 원
  • 호텔 예식장: 10만 원 이상
    👉 이 때문에 식사만 하고 5만 원만 냈다면, 오히려 마이너스라는 인식도 생기고 있어요.

3. 참석 여부에 따른 금액 차이 확대

연합뉴스(2024.12.06) 팩트체크 기사에 따르면,

  • 결혼식 참석 시 평균 축의금: 8.6만~11만 원
  • 불참 시: 5만~6만 원 수준

👉 이는 참석 시 식대를 포함한 비용까지 고려한 결과로, 실제로
“식사는 하지 않지만 마음은 전하고 싶어요”라며 5만 원만 송금하는 MZ세대도 늘고 있습니다.

4. 응답자 다수 “식대 비쌀수록 축의금 더 낸다”

KB국민카드 이지토커 설문(2023)

  • “식대가 비싼 예식장일수록 축의금을 더 낸다” → 61% 응답
  • “동반자와 참석하면 축의금을 더 낸다” → 76% 응답

💡 요약: 왜 축의금이 올랐을까?

요인 설명
식대 상승 예식장 평균 6~8만 원, 호텔은 10만 원 이상
참석 부담 증가 식사를 하게 되면 최소 7만~10만 원은 예의라는 인식
상대 배려 심리 “결혼한 사람도 분명 비용이 들었을 테니…”라는 공감
모바일 송금 확산 금액만 ‘툭’ 보내기보단, 정중함 유지 위한 상향 조정

개인보다 '조직 단위' 축의금이 증가하는 트렌드

최근에는 ‘개인이 챙기기보다, 팀/부서 명의로 일괄 전달’하는 문화가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이른바 “조직 단위 축의금”입니다.

조직 단위 축의금이 증가하는 트렌드

이 방식의 장점은 명확합니다.

  • 신입이나 계약직이 부담을 덜 수 있고
  • 누가 얼마 냈는지 공개되지 않아
  • 공정성편안함 모두를 챙길 수 있죠.

연합뉴스 팩트체크 기사(2024.12.6)에서도

“회사 내 축의금은 정해진 문화나 기준이 있을 때
구성원 간 갈등이 줄고, 소속감도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에서는 내부 축의금 규정을 만들어
‘경조사 지원금’ 형태로 예산을 편성해두기도 합니다.
이는 조직 전체의 건강한 문화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흐름입니다.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가까운 팀원 vs 얼굴만 아는 동료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죠.
“같은 회사인데, 이 사람한테는 얼마가 적당할까?”

 

KB국민카드(2023) 조사에 따르면,

  • 자주 교류하지 않는 직장 동료에겐 평균 8만 원
  • 자주 소통하는 팀원이나 가까운 관계라면 10만 원 이상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금액보다 중요한 건 상대와의 ‘심리적 거리’입니다.
가까운 동료에게는 따뜻한 말 한마디와 함께 5만~10만 원을 정성껏 전하고,
조금 먼 사이라면 팀 단위로 모아서 함께 전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요.

정직원 vs 계약직 or 인턴

고용 형태도 무시할 수 없는 변수예요.
정직원이라면 일정 금액을 부담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계약직이나 인턴 입장에서는 “참여해야 할까?”라는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땐 팀 선임이나 관리자급이
“참여는 자유니까 부담 갖지 말아요”, “안 내셔도 괜찮아요. 마음만으로도 충분해요. 필요한 건 제가 정리할게요.”

참여는 자유니까 부담 갖지 말아요


한 마디만 해줘도, 그 배려가 오래 남습니다.

금액보다 중요한 타이밍과 마음

축의금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전달하느냐가 정말 중요합니다.
같은 5만 원이라도,
직접 “정말 축하드려요. 행복한 날 되시길 바랄게요”라는 말과 함께 건네는 경우와,
메시지 없이 송금만 딱 보내는 경우는 느낌이 꽤 다르게 다가오죠.

요즘은 모바일로 보내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짧더라도 진심이 담긴 한 줄 메시지가 함께라면 훨씬 따뜻해집니다.

타이밍과 마음을 담는 그 작은 차이가,
사람 사이의 온도를 바꿔 놓기도 하니까요.


축의금 전달할 때의 예의와 꿀팁

직접 전달 vs 단체 봉투 사용

직접 전하면 따뜻하고,
단체 봉투는 부담이 적고 실용적입니다.
요즘은 회사에서 부서 대표자가 정리해 전달하는 경우가 많죠.
이럴 땐 ‘단체 봉투에 포함된다’는 사실만 사전에 공유되면 오히려 더 깔끔하고 좋습니다.

카톡으로 전달할 때 주의할 점

모바일 송금이 많아진 만큼,
그냥 돈만 보내는 건 조금 무례하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작은 메시지라도 꼭 함께 보내주세요.

모바일 송금


예: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새 출발 행복하게 응원할게요 😊”

이런 말투는 피해주세요 (자칫하면 어색해질 수 있어요) 💬 

1. ❌ “다들 얼마씩 하셨어요?”

문제점: 너무 계산적으로 들릴 수 있고, 선뜻 말하기 어려운 분위기를 만듭니다.
대안 표현:

“혹시 지난번엔 어떻게 전달하셨는지 아세요?”
자연스럽게 기준을 묻되, 배려 있는 느낌

2. ❌ “그 사람은 지난번에 우리 안 챙겼어요.”

문제점: 감정이 섞인 말은 분위기를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안 표현:

“이번엔 그냥 우리 마음만 담아 전하면 좋을 것 같아요.”
관계를 우선하는 말투로 전환

3. ❌ “이건 좀 너무한 거 아닌가요?” (축의금 액수 듣고)

문제점: 평가하는 말은 누구에게나 민감하게 다가올 수 있어요.
대안 표현:

“각자 편한 방식으로 참여하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선택의 여지를 열어주는 말투

4. ❌ “신입인데도 꼭 내야 해요?” (공개적으로 질문할 때)

문제점: 질문 자체가 방어적이고 민감하게 들릴 수 있어요.
대안 표현:

“이런 경우엔 어떻게들 하시나요? 아직 잘 몰라서요 😊”
조심스러운 초보자의 톤을 유지하며 분위기 누그러뜨리기


호감 가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대화 센스를 높이는 10가지 표현

 

호감 가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대화 센스를 높이는 10가지 표현

말센스가 좋은 사람들은 특별한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호감을 높이고 관계를 원활하게 만드는 10가지 대화 표현을 알아보세요. 누구나 따라 하면 대화 스킬이 업그레이드됩니다! ">🗣️ 호

warmline.tistory.com

 

✅ 말 한마디가 만드는 분위기

✔ 진심은 금액보다 말투에 먼저 담깁니다.
✔ "이건 예의인가?"보다 "이 말이 상대에게 어떤 기분일까?"를 먼저 생각해보세요.
✔ 축의금도 결국 ‘마음 전달’이라면, 그 시작은 말투에서부터입니다.


반응형

사내 관계에서 축의금이 불편해지지 않으려면

'기브 앤 테이크'에 너무 예민하지 않기

한쪽만 주고 못 받을 때,
“내가 손해 본 걸까?” 생각이 들 수 있어요.
하지만 축의금은 거래가 아니라 마음의 표현이라는 걸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때로는 그냥 주는 게 마음 편할 수도 있어요.
기억은 시간이 흐르면 흐릿해지지만, 배려는 사람 사이에 오래 남거든요.

단체 문화일수록 원칙 만들기

경조사 관련한 사내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팀이나 부서 차원에서 명확한 기준을 세워두는 것도 좋습니다.

예:

  • “부서 내 결혼 시, 부서 공통 명의로 같은 금액 걷기”
  • “외부 협업자는 자율 참여” 등

이런 기준이 있으면 모두가 마음 편하게 참여할 수 있어요.

신입·후임을 위한 가이드 공유하기

신입사원이나 후임 입장에서는,
아무것도 모르고 ‘눈치 게임’만 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조직 내에 간단한 “생활 가이드”처럼
축의금 문화나 전달 방법을 공유해주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작은 배려가 ‘우리 회사 진짜 괜찮다’는 신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28x90

결국 중요한 건 마음, 그리고 소통

처음 이야기했던 그 상황들, 기억나시죠?

  • 축의금 줬는데 안 받았던 서운함
  • 얼마가 적당할지 몰라 눈치 보던 날
  • 신입이라 괜히 조심스러웠던 경험

이 모든 순간들이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이유는 결국,
금액 때문이 아니라 관계 때문입니다.

요즘 결혼식이 많이 간소화되고 모바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지만,
그럴수록 사람 사이의 진심 있는 표현은 더 소중해졌습니다.

축의금은 ‘얼마’가 아니라 ‘어떻게’ 전하는지가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
우리 회사만의 따뜻한 문화를 만들어가다 보면,
“이 회사라서 다행이다”라는 마음도 조금씩 쌓이지 않을까요?

비교 없이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는 법

 

비교 없이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는 법 | 조급함에서 벗어나기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는 삶을 사는 법! 조급함에서 벗어나 나만의 속도를 찾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우리는 때때로 삶의 방향을 새롭게 정할 때, 주변 사람들과 자신을

warmline.tistory.com

📚 참조문헌

더보기
  1. 서울신문 (2024.11.05).
    “내 결혼식 올 거지?” 늘어나는 축의금 부담…평균 비용 보니 ‘깜짝’
    → 2021년 7.3만 원 → 2024년 9만 원으로 상승한 평균 축의금 수치 인용
  2. 연합뉴스 (2024.12.06).
    [팩트체크]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
    → 관계별 적정 축의금 제안(5만~10만 원), 참석 여부에 따라 금액 차이 언급. 축의금 문화 역사 포함
  3. 헤럴드경제 (2024.01.03).
    “밥값 올라 결혼식장 가기 부담인데…요새 축의금 얼마면 될까”
    → 식대 상승으로 5만 원 축의금조차 부족하다는 인식 확산, ‘10만 원 시대’ 언급
  4. KB국민카드 이지토커 설문조사 (2023.10월)
    → ‘알고 지내는 사이’ 평균 8만 원, ‘친한 사이’ 평균 17만 원 응답 결과 인용
  5. 인크루트 설문조사 (2023.03월)
    → 대학생·구직자·직장인 1,177명 대상
    • 동료 관계별 적정 축의금: 일반 동료 5만 원, 친밀한 동료 10만 원 이상
    • 모바일 청첩장에 대한 인식 등 포함
  6. 카카오페이 결제/송금 리포트 (2023)
    → 축의금 모바일 송금 봉투 사용률 최근 5년간 360% 증가
    → 20대 평균 축의금 6만 원, 30~40대 10만 원, 50대 이상 12만 원 등 세대별 차이 제시
반응형

-->